97년 일본 애니 업계에서 벌어진 스승과 제자의 대결
댓글
0
조회
493
04.03 11:00
작성자 :
결론은미친짓이다

- 신주쿠 도큐 밀라노 -
블록버스터가 집중되는 여름
일본 극장가에는 사람들의 기대를
한껏 받은 두 개의 애니메이션 극장판이 개봉한다.
설립 후 여러 작품을 제작하며
국/내외적으로 인정받은
지브리 스튜디오의
모노노케 히메.
모노노케 히메는
구상, 기획 기간 16년
제작 기간만 3년이 걸린 작품으로
개봉 전부터 많은 기대를 받았다.
두 번째는
1995년 에반게리온 TV판으로
신드롬을 일으키며
3차 애니메이션 붐을 주도한
극장판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이다.
두 사람은 당시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들 중 하나였으며
- 20대 시절 안노 히데아키 -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
왼쪽 캐릭터는 미야자키 하야오가
오른쪽 거신병은 안노가 그렸다
안노가 신입이던 시절 미야자키 감독과
함께 일을 해본 경험과,
공교롭게도 한 주 차이의 개봉 날짜로
팬들과 언론은 스승과 제자의 대결로
보는 시각도 있었다.
두 작품은 작품의 분위기 뿐 아니라
포스터에 적힌
카피 문구도 극히 상반됐다
'살아라'
'모두 죽어버리면 좋을 텐데'
그렇게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기대를 받으며
1997년 7월 12일 모노노케 히메가
개봉한다.
이후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이
7월 19일 개봉하여
]
팬들을 맞이했다.
개봉 후 모노노케 히메의 흥행은 엄청났다
관객 동원 1420만명
흥행 수익 193억엔을 벌어들였다.
당시 일본 언론에서도 모노노케 히메의
흥행을 집중적으로 조명했고
이 작품은 국민적 작품으로 극찬받는다.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도
흥행 수익 24.7억엔,
관객 164만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흥행과 별개로 이 작품은 작품속
연출과 내용 전개, 엔딩으로 지금도
수많은 말들을 나오게 하는 작품 중 하나가 되었다.
당시 엔드 오브 에바를
극장에서 봤던 사람들의 말을 보면
먼저 보고 나온 사람들이
멘탈이 나간 표정이거나
어이없어 하는 표정이 많았다고 한다.
모노노케 히메의 경우
1997년 일본 박스오피스
통합 1위로 그 해 최고 흥행작이 된다.
(2등은 인디펜던스 데이)
엔드 오브 에바의 경우
작품과 연출, 엔딩에 대한 끊임없는 논쟁을
일으키며 안노 감독은 팬들의 애증의 대상이 된다.
이후 2007~2021년 신 극장판이 나왔고
나름대로의 결말을 짓게 됐지만
강한 호불호로 나뉘며 또 한번
여러 말들을 만들어냈다.